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구독 안함
안녕하세요, 디온입니다. 지난 2021년은 엑시 인피니티를 필두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P2E(플레이투언)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게임들, 그리고 게임에서 활용가능한 NFT들이 엄청난 강세를 보인 한 해였습니다.
꽤 오랜 시간동안 고착화되어 있던 유료형(과금형) 게임은 누구나 과금 없이도 즐길 수 있는 F2P로 진화하면서 게임 산업의 파이를 크게 성장시켰고, 이제는 게임 플레이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는 P2E 모델의 등장과 함께 게임 산업의 비즈니스 모델 판도가 크게 변하고 있습니다.
게임 플레이를 통해 생활비를 벌 수 있다는 것은 게임을 좋아하는 플레이어들과, 기초 소득수준이 매우 낮은 개발도상국 사람들에게는 하나의 거대한 경제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P2E의 대표 주자인 엑시 인피니티는 동남아 지역 국민들의 일상 생활 속에 자리잡으며 국민 게임 반열에 올라서게 됩니다.
이 덕분에 블록체인 기반 게임들의 유틸리티 토큰 및 NFT의 가격이 단기간에 엄청난 상승을 보이게 되고, 이러한 현상과 함께 게임 뿐만 아니라 각 게임에서 사용가능한 카드, 캐릭터, 아이템 등을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하여 게임별 디지털자산을 렌탈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BM을 가지는 길드(YGG, MeritCircle 등)들도 우후죽순 등장하며 DeFi 다음의 메가 트렌드는 P2E가 가져가는 것 같았습니다.
그러나 P2E의 트렌드는 많은 사람들의 기대와는 달리 그다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게임들은 퀄리티나 재미 요소(Play) 보다는 수익(Earn)에 치중되어 있다는 특성, 러그풀 리스크 그리고 다양한 진입장벽으로 인한 유저 베이스 확장에 실패하면서 의도치 않게(?) 소프트러그화 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죠.
P2E게임 관련 토큰들의 가격 급락과 함께 P2E 자체에 대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계속 높아져만 가고 있습니다. 흔히들 사행성과 중독성이 높다는 비판을 하지만 이것은 완전히 잘못된 진단으로 생각되며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드는 근본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정리를 할 수 있습니다.
결국은 리스크가 크고 진입장벽이 높다는 특징으로 인해 P2E가 다시 P2P로 회귀해버리고 유저 베이스가 탄탄해지지 못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Web3 게임에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